업비트 차트 보는 법 - 골드 크로스, 데드 크로스
여러분들은 흔히
"골드 크로스" (이하 골크)
"데드 크로스" 등이라는 말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골드 크로스, 데드 크로스란 무엇인가?
지금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골드 크로스란
배수가 낮은 이동 평균선이 배수가 높은 이동 평균선을 뚫고 올라가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자면 7일선이 15일선 위에 올라타서 간다거나,
7일선이 50일선, 15일선이 50일선에 올라탄다거나 하는 것입니다.
골드 크로스가 왜 중요한가?
그 이유는 골드 크로스가 발생했을 때는 가격의 상승을 동반하기 때문입니다.
위의 그림에서 보게되면
가장 최근에 가격의 상승이 있었습니다.
보시면 7일선이 15일 선의 위로 올라타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골드 크로스는 생겼을 때 상승하는 것이 아닙니다.
골드 크로스가 곧 생겨 가격이 상승하겠구나 하는 기대감에
매수 심리를 부추겨 가격의 상승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따라서 확실한 골드 크로스가 이미 완성이 되었을 때
매수하기에는 늦는다는 것입니다.
다음은 데드 크로스입니다.
데드 크로스란 골드 크로스의 반대로
배수가 높은 이동 평균선이
배수가 낮은 이동 평균선을 뚫고 올라가는 것입니다.
예를 들자면 50일선이 7일선을 돌파해 올라타거나
15일선이 7일선, 50일선이 15일 선등이 있겠죠.
데드 크로스의 중요한 점은
데드 크로스가 발생하면 가격이 하락한다는 것입니다.
보시게 되면 비트코인도 큰 하락이 일어나면서
15일선이 7일선의 위로 올라타는 모양이 생기면서
이후 가격이 크게 하락한 것입니다.
골드 크로스나, 데드 크로스나
항상 심리가 우선적으로 반영되어 차트에 나타납니다.
따라서 골드 크로스 자리인지,
데드 크로스 자리인지를 미리 판단하고
대처하는 자세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골드 크로스와 데드 크로스는 결국
저번에 설명 드렸던
"지지"와 "저항"의 한 단계 나아간 방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를 활용한 매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위의 그림을 보면 현재 캔들이 7일 이동 평균선 밑에 있습니다.
여기에서 매수세가 붙어 7일 이평선 위에 올라타게 되면
1차적으로 15일선 자리까지 올라간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매수세가 좋아서
7일선이 15일 선을 뚫고 올라간다면
골드 크로스가 발생하여 가격이 상승하고
15일선의 지지를 받는 위치까지 올라갈 수 있습니다.
이후 골드 크로스의 상승세로 상승하면
끝까지 상승하는 게 아닙니다.
50일 이동평균선의 저항이 있는 라인까지
상승하다가 떨어진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따라서 2차 기대값은 50일 이동 평균선 자리가 될 것이고,
이는 물론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이동 평균선이 움직이는 것도 고려해야합니다.
이동 평균선과 골드 크로스, 데드 크로스만 보고
매매에 바로 적용하시기 보다
참고적인 지표임을 알아 주셨으면 좋겠고
상승과 하락은
상승/하락 다이버전스, 삼각수렴
헤드앤 숄더, 컵 위드 핸들... 등의 다양한 패턴과
매물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하는 것이 옳으나
지금은 골드 크로스와 데드 크로스 이후 움직임을 보기 위해
간략하게 설명하였다는 걸 알아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