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분들이 고민합니다.
"익절은 언제 해야할까"
"손절은 언제 해야할까"
그리고 더 중요한 건
"손절했을 때 어떻게 해야 할까?"
입니다.
많은 분들이 손절을 경험하셨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저 또한 그렇습니다.
손절을 할 때의 심리는 무엇인가요?
"더 떨어지겠지"
"어디까지 떨어질 줄 모르니 지금 일단 매도하고 더 싼 가격에 매수해야지"
이런 심리로 손절을 하셨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손절을 하고 나서 만약 가격이 더 이상 하락하지 않고
반등하는 경우를 많이 보셨을 겁니다.
지나친 하락폭에 놀라 패닉셀을 하신 건 아닌지,
어느 자리에서 반등이 나올 만한 자리인지
고려해 보거나 공부하지 않고
추세만을 보고 판단하신 건 아닌지 생각해 봐야 합니다.
만약 손절을 하셨다면,
크게 3가지 대처 요령이 있습니다.
1. 손절한 코인이 더 떨어질 때까지 기다린다.
(*매도한 가격까지 상승하면 다시 매수합니다.*
*조금 가격이 올랐어도 매수합니다.*)
2. 손절 이후 하락폭이 더 큰 코인, 혹은 반등 자리까지 도달한 코인을 매수한다.
(기본적인 자신의 매매 기준에 따라서 손절, 매수를 진행합니다.)
3. 현금화를 하여 인출한다.
(아무것도 모르고 손절을 하셨다면 투자 위험도가 굉장히 큽니다.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공부를 하고 투자하시거나
투자를 하지 않기를 권장드립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1번입니다.
초보들이 가장 많이 하는 실수는 손절을 경험한 후
하락의 충격에 빠져 자신의 코인이 반등할 수 있는 곳까지 하락하거나
다시 자신의 가격까지 상승했음에도 매수하지 않고
날아가는 것을 지켜보는 것입니다.
손절을 한 것은
단지 금액으로 보이는 것의 문제입니다.
비록 -30% -40%, 심하게는 -70~80%라고 해도
손절을 한 후 그 가격보다 저렴하게 사면
손해가 아닙니다.
예를 들어 보자면
100원짜리 코인을 100개 구매했습니다.
그런데 가격이 하락하며
70원이 되었습니다.
-30%의 손실 중이지만 코인의 개수는 똑같이 100개입니다.
여기서 -30%에서 손절을 하여
7000원의 현금을 보유했습니다.
-50%까지 하락하여 다시 매수를 진행했습니다.
7000/50 = 140
오히려 코인의 개수는 40개가 늘어났습니다.
초기 투자금에서는 손실일지 몰라도
단기적으로는 이익을 본 것입니다.
손절은 꼭 필요할 때는 하셔야 합니다.
꼭 명심하시고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익절한 후의 행동 요령도 간단히 알려드리면
익절 한 후에 멈춰 있으면 수익은 거기서 끝입니다.
내가 판 코인을 제외하고,
시장에서 오르지 않은 종목을 매수하여
추가적으로 수익을 낼 수 있는 자세를 갖추셔야 합니다.
이상입니다.
업비트 차트 보는 법(기초) - RSI (0) | 2021.06.09 |
---|---|
업비트 차트 보는 법 - 라이징 / 폴링 웻지 (0) | 2021.06.09 |
업비트 차트 보는 법 - 골드 크로스, 데드 크로스 (0) | 2021.06.07 |
비트코인 관련 용어 정리 - 기본 (0) | 2021.06.06 |
업비트 차트 보는 법 - 추세선 (0) | 2021.06.06 |
댓글 영역